경제

대한민국 현재 경제와 경제 전망

라이프맛집 2024. 5. 4. 23:25
반응형

안녕하세요.

 

요즘 대한민국 경제는 고물가, 고환율, 고금리, 고유가로 여러모로 힘든 시기를 지나고 있습니다.

오늘은 대한민국 경제와 앞으로의 경제 전망에 대해 한번 알아보려고 합니다.

먼저 나무위키에 출처에 따른 대한민국 기본 경제 정보를 먼저 살펴보면,

인구 5천만 명, 세계 29위로 인구수가 점점 감소하고 있고 현재 저출산 문제로 심각한 상황입니다.

 

명목 GDP 1조 7천억 달러, 세계 14위.

2023년 GDP 성장률 1.4%

무역규모 1조 4천억 달러로 세계 6위로 높은 순위에 있습니다.

2023년 기준 고용률 63%.

 

대한민국 경제는 미국의 경제에 따라 좋아지기도 하고 나빠지기도 합니다. 현재 미국의 실업률은 역대 최저로 보이고 있고,

미국의 금리 인하 기대를 했다가 실업률이나 물가지수 등 여러 경제 지표에서 탄탄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연준의 금리 인하가 점점 더 미뤄지고 있는 상황이고 현재는 동결이 발표된 상황입니다.

그러므로 달러의 강세가 더 높아졌고, 거기에 이스라엘 이란 전쟁으로 여러모로 불안정한 감이 있었습니다.

현재 미국 환율

 

현재 미국 환율은 1달러당 1356원으로 얼마 전까지는 1400원까지 올랐었습니다.

여기서 이란과 이스라엘의 갈등이 더 커지지 않고, 상황이 안정화가 된다면 환율은 안정기에 들어갈 수 있다는 전망입니다.

그리고 현재 중동전쟁과 분쟁으로 인해 원유 가격이 급등하여 고유가와 고물가인 상황이고, 장기적으로 이어진다면 경기 침체와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소비자물가지수

 

현재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3개월 만에 3% 밑으로 떨어졌지만, 사과나 배 등 과일값은 여전히 불안합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4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에 소비자물가 지수는 113.99로 작년 4월 달보다 2.9% 올랐다고 합니다. 그리고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올해 1월 2.8%에서 두 달 연속으로 3.1%로 유지하다가 3개월 만에 2%로 떨어졌습니다.

특히 농수산축산물 물가가 1년 전보다 10%나 상승했고, 여전히 높은 물가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렇듯, 고물가로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물가 안정이 될 때까지 한국의 금리 인하도 어려울 것으로 예상됩니다.

 

금리 인상 인하로 인해 부동산에 미치는 영향

금리 인상과 인하로 인해 부동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금리를 인상하게 된다면 부동산 가격은 하락하게 됩니다. 왜냐하면 금리가 올라가게 된다면 이자가 높아지기 때문에 부동산 대출로 인한 이자 부담감이 커져 팔려는 사람은 늘고 살려는 사람은 적기 때문에 부동산 가격은 떨어지게 됩니다.

그에 반대로 금리가 인하되면 많은 사람들이 대출을 해서 집을 사기 때문에 수요가 늘어서 집 값은 상승하게 됩니다.

예로 들자면 강남 지역이 항상 집값이 비싼 이유가 수요가 많기 때문입니다.

 

앞으로의 경제 전망 (KDI 경제 지표)

KDI 경제전망에 따르면 2024년 우리 경제는 소비와 투자의 증가세가 둔화되는 반면 수출 증가세는 확대되고 기존 전망과 동일하게 2.2%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합니다.

 

1. 민간소비는 상품소비를 중심으로 증가세가 둔화된 점을 반영하여 기존(1.8%)보다 소폭 낮은 1.7%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2. 설비투자는 2.3% 증가할 것으로 예상이 되지만, 건설투자 즉 부동산 경기 하락을 반영하고 기존 1.0%보다 감소폭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3. 총수출은 반도체경기 반등과 세계 경제성장률 상향조정을 반영하여 기존 전망(3.8%) 보다 높은 4.7%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4. 경상수지, 내수 증가세는 둔화되는 반면 수출 회복세는 확대됨에 따라 기존전망을 상회하는 560억 달러 내외의 흑자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5.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내수 증가세 둔화를 반영하여 기존전망보다 소복 낮은 2.5%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2024년 우리나라 경제는 소비와 투자의 증가세가 둔화되는 반면 수출 증가세는 확대되면서 기존 전망과 동일하게 2.2%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2023년 하반기 실적치가 기존 전망에 부합하였으며, 2024년에도 기존 전망과 유사한 성장세가 예상됩니다.

민간소비는 상품소비를 중심으로 증가세가 둔화된 점을 반영하여 기존 전망(1.8%)보다 소폭 낮은 1.7%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전망의 위험요인

 

중동지역의 지정학적 위험이 확대되거나, 중국경기가 부동산 중심으로 급락하는 경우 대한민국 경제의 회복세가 약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그리고 중동지역의 분쟁이 심해지면서 유가상승, 운송 문제로 생산 비용이 상승함에 따라 경제 성장세도 둔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중국 부동산시장이 급락하면서 경기침체가 발생할 경우에는 수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대내적으로는 부실 건설업체의 구조조정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할 경우와 건설투자의 부진이 심화될 가능성이 존재한다면 금융시스템 위기로 전개될 가능성은 적으나 신용경색이 발생하고 실물경기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오늘은 대한민국의 경제와 경제전망에 대해 짧게 알아보았습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반응형